1.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
1) 배경
(1) 기준금리 3.25% → 3.0% 인하
(0.25%P 인하, 2개월 연속 인하)
(2) 경기 둔화 및 내수 부진으로 인하 결정
(3) 대부분의 시장전문가들은
금리 동결 예상
2) 상세 이유
(1) 가계부채와 환율 상승 가능성에도
경기부양을 우선하여 금리 인하
(2)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등
저성장 우려
('24년 2.2%, '25년 1.9%로 각0.2% 하향)
(3) 수출 감소 및 글로벌 경기 불확실
(트럼프 재선 후, 관세 리스크 등)
3) 향후 전망(JP모건)
(1) '25년 1분기와 2분기 추가 금리 인하 예상
(2) 중립금리 수준인 2.5% 까지 인하 전망
2. 금리 인하의 경제적 영향
1) 금융시장
(1) 채권시장
- 국고채 금리 하락
(3년물 연 2.607%, 연중 최저)
- 금리인하 기대감이 채권시장에 선반영
(2) 은행권 대출금리
- 주요 은행 주담대 고정금리
(혼합형/주기형)
월 초 대비 하락 (0.18%P ↓)
- 가산금리 인하 X
(2) 주식시장
- 코스피 -1.95%, 코스닥 -2.33% 하락
('24년 11월 29일 기준)
- 경기 둔화 우려로 하락
(3) 부동산시장
- 현재 상황
: 대출규제, 계절적 요인으로
거래량 감소 및 매수심리 위축
(디딤돌대출 한도 축소 및
스트레스 DSR 규제 등)
: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
99.5로 기준인 100 하회,
매매가는 0.04% 상승
('24년 11월 25일 기준)
: 지방 아파트 매매가 0.05% 하락
('24년 11월 25일 기준)
- 금리 인하 효과
: 강력한 대출 규제로
금리 인하 효과는 제한적
: 단기적으로 관망세 유지,
연말까지 주택 거래 총량 감소 전망
- 중장기 전망
: 금리 인하 지속 시, 매수 심리 회복 가능
('25년 2분기 이후)
: 신혼부부 등 실수요자 및 수익형 부동산
중심의 수요 증가 예상
3. 금리 인하 과제
1) 대출금리 역행 및 예대금리차 확대
(1) 대출금리 상승세
- 신규 주담대 금리 상승
(9월 대비 10월은
4.25 ~ 4.46%으로 상승)
- 가계 예대금리차 상승
(1.05%로 3개월 연속 ↑)
- 이에 따른, 가계의 금리 인하 체감 미비
2) 정책적 과제
(1) 가계대출 관리 및 경기부양 사이 균형 필요
(2) 은행권 대출 금리 인하 유도 위한 역할 필요
'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美, 12월 FOMC회의 전망 (8) | 2024.12.16 |
---|---|
탄핵 부결 후, 정부의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('24년 12월 10일) (6) | 2024.12.10 |
예금 보호 한도 1억원 상향('24년 11월 26일) (4) | 2024.11.27 |
엔비디아 CEO, 삼성전자 HBM 관련 언급('24년 11월 24일) (2) | 2024.11.24 |
알테오젠 주가 급락 이슈('24년 11월 23일) (3) | 2024.11.2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