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뉴스

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('24년 11월 20일)

by 궁금한H 2024. 11. 20.
반응형

1. 트럼프 유세과정 중,
    관세정책 주요 내용

    1) 관세 정책 도입 배경 및 목표
        (1) 무역 적자 해소와 중국 의존도 축소
        (2) 미국 노동자 보호 및
             미국 제조업 활성화 등 경제 성장 촉진
        (3) 법인세 감세 재원 확보
     2) 관세 정책 내용
         (1) 모든 수입품에 10~20%의 보편 관세 부과
         (2) 중국산 제품에는 최대 60 ~ 100%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고율 관세 계획

 

2. 미국 산업계 등 반응

      1) 관세에 대한 기업들의 준비
         (1)  실적 발표에서 관세 영향 언급하는 사례가
                전년 대비 2배 증가
                (S&P 1500 내 200여 개 기업)
         (2)  아시아에서 재고 조기 확보 및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공급망 다각화 진행

      2) 기업 개별 관세에 대한 구체적 우려와 대응
         (1) 월마트 
             - 관세 인상 시, 일부 품목 가격 인상 불가피
             - 공급업체 등과 협력해 가격 인상 최소화
         (2) 로우스 
             - 매출 원가의 40% 를 수입에 의존    
                →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 전망
             - 관세 여파로 인한 시나리오 마련 및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비용 절감 대비책 마련 예정
         (3) 스티븐 매든
             - 관세로 인한 재정적 영향 감소를 위해
               중국산 제품 수입 비율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년간 최대 45% 축소 계획

      3) 전미소매협회와 경제단체의 우려
         (1) 관세는 소비자 가격 상승 및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인플레이션 유발
         (2) 연 460억 ~ 780억 달러 규모의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소비자 구매력 감소 예상

          (3) 무역 둔화로 고용 감소 우려
      4) 전문가 의견
         (1) 경제적 영향
              - 단기적 관세에 대한 충격 우려
              - 장기적 생산 및 수입 감소 예상
         (2) 관세의 점진적 도입이 전망되나,
              예상보다 빠른 정책 시행 시 충격 우려 
              (옥스퍼드 이코노믹스)  
 

3. 미국, 글로벌 및 한국
     경제에 미치는 영향

      1) 미국 경제
         (1) 물가 상승 압박
             - 중국산 제품 60% 관세 부과 시,
                물가 상승률 0.7% p 증가 예상
          (2) 소비 둔화
              - 인플레이션 및 가격 인상으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소비자 지출 감소

         (3) 공급망 혼란
              - 관세 부과와 항만 파업 가능성
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물류 차질 확대 
      2) 글로벌 경제 →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초래
         (1) 현재, 전기차 관세와 보복 조치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무역갈등 심화 중

               (중국과 EU)
         (2) 보복 관세가 아시아 성장 전망 악화,
               공급망 교란 초래 (IMF)
      3) 한국 기업
         (1) 미, 관세 인상 시 수출 감소,
               경제 성장률 하락 가능
        (2) 자동차 및 반도체 업종 영향 우려

반응형

댓글